자아존중감 무엇이길래 높혀 줘야 하나
어른들 사이에서도 누구는 자존감이 높다. 누구는 자존감이 낮다. 또 누구는 자존심이 세다. 약하다. 이런 말들 많이 하시죠? 자존감이 대체 뭐길래 어른들 사이에서도 이런 말들을 하는 걸까요? 자존감이 세면 사회 생활을 하면서 올수 있는 충격에도 대부분 회복성이 높고 자존감이 낮은 경우 흔히 자기 탓을 하며 회복이 더디게 되는 경우를 종종 볼 수가 있습니다. 이렇듯 유아기의 친구 관계 뿐 아니라 향후 어른이 되어서 까지 생애 전반을 걸쳐 영향을 주는 자아존중감 무엇인지 살펴 보고 어떻게 하면 아이들을 자아 존중감 높은 아이로 키울 수 있을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아존중감 ( 영어 : self-esteem) 이란 자신이 사랑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 소중한 존재이고 어떤 성과를 이루어 낼 만한 유능한 사람이라고 믿는 마음 입니다. 자아존중감이 있는 사람은 정체성을 제대로 확립할 수 있고 정체성이 제대로 확립된 사람은 자아존중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자아존중감은 객관적이로 중립적인 판단이라기 보다 주관적인 느낌 입니다. 자신을 객관화 하는 것은 자아존중감을 갖는 첫 단추 입니다. 간단히 자존감. 자존심 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이 용어는 미국의 의사이자 철학자인 윌리엄 제임스가 1890년 대에 처음 사용한 말입니다.
자존감 이라는 개념은 자존심과 혼동되어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존감과 자존심은 자신에 대한 긍정이라는 공통적인 개념이 있지만 자존감은 있는 그대로의 모습에 대한 긍정을 뜻하고 자존심은 경쟁속에서의 긍정을 뜻하는 등의 차이가 있습니다.
자존감 형성하기
자존감은 어린 시절 기틀을 마련합니다. 일반적으로 유아기에 가장 높은 편이며 이후 현실을 알아가고 경험하면서 또래와의 비교를 통해 자신을 평가하게 되고 자신의 자존감 또한 조정하게 됩니다.
부모와의 관계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는 어린 아이의 자존감 형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부모의 가치관이나 관계 속에서의 배움을 통해 자존감을 이뤄 나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부모는 자신의 자존감을 그대로 자식에게 대물림 하게 되는데요 어린시절 형성된 자존감은 성인이 되어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부모간 사이가 좋으면 자녀의 자존감도 높게 형성이 됩니다. 부모간 의견 충돌이 없을 수는 없지만 싸움을 통해 옳은 결정을 내리려고 하기 보다는 사이좋은 결정을 내리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경험
삶에서의 경험은 자존감에 큰 영향을 줍니다. 삶에서 어떠한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을 하였냐에 따라 자존감은 변할 수 있습니다. 단순 부정적 경험이나 트라우마가 자존감에 상처를 입히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이어지는 이유는 이러한 경험에 따른 유동성 때문 입니다.
자존감이 있는 경우는 합리적이고 주도적인 의사 결정력이 생기고 부정적 심리를 경험할 가능성이 낮거나 경험하더라도 비교적 쉽게 극복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존감이 과잉된 경우는 우월감 등의 부정적 심리 경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고 타인의 비판이나 평가를 부정적으로 받아 들이고 더 나아가 공격적인 모습을 보일 수도 있습니다.
자존감이 낮을 경우에는 우울, 불안, 열등감, 공포, 분노 등의 부정적 심리 경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고 의사 결정에 의존적이거나 불확실한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우울감에서 벗어나고자 과도한 음주를 하거나 비정상적인 식습관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열등감이나 자격지심으로 인해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심하면 우울증이 생기거나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자존감이 안정된 경우는 자존감이 쉽게 변하지 않지만 자존감이 불안정할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자존감의 높낮이가 쉽게 변하기도 합니다.
자존감이 주는 영향
대인 관계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적, 리더쉽, 위기 극복능력, 대인 관계 등 삶의 많은 영역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대인 관계는 자아 존중감과 정비례 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대한민국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은 그룹은 89.3%가 대인관계 최고 수준의 그룹에 속한 반면 낮은 그룹은 78가 대인관계 수준 역시 낮게 나타났습니다. 마찬가지로 중간 그룹 역시 가장 많은 69.7%가 중간 정도의 대인관계 수준을 보였씁니다.
자기 판단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뿐만 아니라 자기판단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들은 자기주장적인 경향이 있어 한계와 마주한 상황서 자신의 판단에 확신을 가지고 이를 표현합니다. 반면에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들은 자신의 판단에 자신감이 없으며 자신이 이 상황에 대해 영향을 주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자아 존중감의 오해
자신감과의 차이
정신과 전문의 윤홍균에 의하면 자신감은 자신의 능력과 해결해야할 과제의 난이도를 비교함으로써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능력에 비해 과제의 난이도가 높다면 자신감이 떨어집니다. 한편 자신의 능력을 실제 보다 과대평가하는 경우 자신감이 지나치게 높아질수 있습니다. 이 상태를 흔히 자만 상태 라고 합니다.
자존심과의 차이
이주연 목사에 의하면 자존심과 자존감은 모두 자신을 좋게 평가하고 사랑하는 마음 입니다. 그러나 자존심은 타인과의 경쟁 속에서 얻는 긍정이자 자존감은 자신의 있는 그대로를 받아 들이는 긍정 입니다. 그러나 자존심은 끝없이 타인과 경쟁해야 존재할 수 있고 패배할 경우 무한정 곤두박칠 칠수 있습니다. 반면 자존감은 자신에 대해 더욱 확고한 사랑과 믿음이 있기에 경쟁 상황에 따라 급격히 변화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높은 아이로 키우기 위해서는 부모가 아이들 앞에서 잦은 다툼을 하지 않고, 아이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존재가 되어 아이들의 믿을 수 있는 울타리임을 몸으로 느끼게 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안전한 울타리 안에서 충분히 도전하고 실패하고 성공하고의 경험을 충분히 쌓은 후 스스로에 대한 존중감을 높혀서 이것이 사회로 나아갔을때 충분히 자존감 높은 상황에서 자신도 남도 아낄 수 있는 사람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